알림정보

활동소식

활동소식

[보도자료] 2024 교육복지 컨퍼런스 '교육적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사례관리 전략' 발표
관리자| 2024-05-27| 조회수 : 61

2024 교육복지 컨퍼런스 '우리의 미래-우리의 책임, 교육적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사례관리 전략' 발표

 

- 일시: 2024. 5. 22.(수)

- 장소: 서울 중구 스페이스쉐어 서울중부센터

 


 

□ 강서교육복지센터(센터장 박자양) 지난 22일 서울 중구 스페이스쉐어 서울중부센터에서 열린 

    ‘2024 교육복지 컨퍼런스(주최주관:서울특별시교육청)에서 우리의 미래, 우리의 책임 - 교육적 

   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사례관리 전략을 발표했다.

 

□ 박자양 강서교육복지센터장은 교육복지는 사업이 아닌, 교육의 본질적인 문제를 바라보는 

    하나의 관점, 즉 패러다임이다라 전하며 현장 사례와 이론을 기반으로 학생 중심의 맞춤형 

    지원 및 통합적 사례관리 모델과 교육복지 전문인력의 실천 역량을 설명했다.

 

□ 서울형 교육복지의 역사를 함께 걸어온 강서교육복지센터는, 10년의 강서교육복지 성과 속 

    현장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교육적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사례관리 과정 전략을 밝혔다.

 

□  사례관리 과정 전략은 정보 수집과 사례 분석을 통한 위기 요인 및 문제의 본질 파악 

     △ 학생 중심의 맞춤형 계획 수립 12차 사회 안전망 다자간 협력 욕구에 따른 자원 연계 

     △ 지속적 모니터링과 조정 당사자 및 가족의 만족도 평가 등이다.

 

         
 

□  박 센터장은 한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선 안정된 환경이 필수적이다라며 사회적 변화에 따른 

     가정 내 안정화 위기가 대두되고 위기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, 안정적 환경 조성을 위한 지지체계이자 

     사회적 모델링이 필요하다라고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.

 

□  특히, 학생 성장의 핵심 역량으로 생활력;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언급하며, 현재를 살아

     가는 힘이자 자기 생활을 스스로 정돈하는 힘, 즉 생활력은 어떻게든 살아갈 수 있는 자신감의 원천이

     라고 했다이어 우리 아이들의 생활력 강화를 위한 건강한 관계 확립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거듭 강조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 

 

□ 교육복지 현장 실천가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앎(knowing)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아야 하고, 당사자의 위기 요인과 

    강점을 파악할 수 있는 준거이자 단 하나의 핵심 이슈를 판정하는 역량이 필요하다. 이처럼 박자양 강서교육복지

    센터장은 ‘2024 교육복지 컨퍼런스에서 교육복지 현장 실천가의 모델과 사례관리 전략을 제시했다.


□  이번 교육복지 컨퍼런스는 교육복지 사업의 20년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미래 비전을 모색하겠다는 취지에서 개최했다.

     교육복지 컨퍼런스에는 교직원, 서울시교육청, 교육복지 전문인력, 학부모, 지역사회 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.